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전체 글88

프랑스 와인3: 부르고뉴 와인 품질보증마크와 유명 와인산지 특징 프랑스의 부르고뉴 프랑스의 부르고뉴는 전체 길이가 250km에 달하며 포도 재배지 면적은 29,500헥타르에 달합니다. 이 중에서 2,500헥타르가 AOC 등급을 받았습니다. 이 지역의 레드와인은 피노누아, 가메이 품종을 대부분 사용하여 화이트와인은 샤르도네와 알리고테 품종을 사용합니다. 약 60%가 화이트와인, 30%가 레드와인을 생산합니다. 오랜 시간이 흐르며 부르고뉴의 와인은 전 세계적으로 유명합니다. 세계에서 가장 비싼 와인인 로마네 콩띠가 대표적인 부르고뉴의 와인이기도 합니다. 부르고뉴 와인 품질보증마크, 즉 포도밭에 부여되는 등급에는 크게 2가지가 있습니다. 프리미에 크뤼 아펠라시옹과 그랑 크뤼 아펠라시옹입니다. 프리미에 크뤼 아펠라시옹은 특정 포도원에서 생산된 와인이자 특별한 특성을 가진 와.. 2023. 2. 24.
프랑스 와인 2탄: 알자스, 부르고뉴 지역의 특징 프랑스 와인 2탄 프랑스 보르도 지역의 1등급 와인(5대 샤또 소개) 1) 샤또 라피뜨 로쉴드 : 루이 15세 당시 왕의 와인이라는 별칭이 있었으며 라피뜨의 포도원은 석회질에 자갈이 드문드문 섞여 있는 토양입니다. 카베르네 쏘비뇽과 메를로 품종을 주로 재배합니다. 2) 샤또 라뚜르 : 와인의 왕이라는 별칭이 있으며 메독 와인 중 강인한 특징이 있는데 그중에서 더욱 강인한 와인인데, 빈티지에 따라 50년 숙성을 견뎌낼 정도입니다. 3) 샤또 무통 로쉴드 : 와인 라벨을 그린 예술가들이 많아서 라벨 디자인으로 수집가들에게 표적이 되었습니다. 1942년 이후 해마다 유명한 예술가들의 라벨 그림이 나왔습니다. 100여년 만에 2등급에서 1등급으로 유일하게 승격된 와인입니다. 4) 샤또 마고 : 향이 풍부하고 우.. 2023. 2. 23.
프랑스 와인의 특징과 프랑스 와인등급 AOC 프랑스 와인 프랑스는 와인에 관해서라면 세계 최고의 명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는 AOC, 즉 원산지 명칭 통제 규정 덕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1930년대에 규정된 와인 품질 제도이며 당시 포도 흉작에 따른 와인 업계 불황으로 모조품이 많아지게 되자 이를 배척하기 위해 AOC 법제화가 추진되면서 규정되었습니다. 이 품질 제도에서는 원산지, 포도 품종, 알코올 함량 최소치, 포도 재배방식을 규제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프랑스 와인의 등급은 크게 4등급으로 나뉘는데 가장 최상급 와인 AOC 등급, AOC로 승격을 기다리는 상급 와인 VDQS, 뱅드 빼이라 불리는 지방와인, 마지막으로 가장 낮은 등급에 해당하는 테이블 와인 (뱅드 따블)이 있습니다. 테이블 와인은 프랑스 와인 생산의 35% 정도를 차지하.. 2023. 2. 22.
스파클링 와인과 샴페인의 제조방법 스파클링 와인 제조 방법 스파클링 와인은 2차 발효의 방법에 따라서 제조 방법이 분류됩니다. 탱크에서 발효하는 방법은 대부분의 스파클링 와인 제조법으로 밀폐된 탱크에서 2차 발효를 거치게 됩니다. 이산화탄소가 와인에 용해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 압력이 가해진 상태의 와인을 병입시킵니다. 이탈리아의 아스티와 프로세꼬, 독일의 젝트 스파클링 와인 제조에 적합합니다. 신선하고 과일 풍미가 나는 스파클링 와인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숙성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효모 자가분해 과정을 거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향이 강렬한 포도 품종을 많이 사용합니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탄산을 주입하는 제조 방법이 있는데, 2차 발효가 필요 없기 때문에 가격이 저렴한 편입니다. 하지만 기포가 크고 균일하지 않기 때문에 지속력.. 2023. 2. 20.
증류주의 종류 : 보드카, 럼, 데킬라, 진 그리고 혼성주 칵테일의 특징 보드카 보드카는 러시아에서 신분에 상관없이 마시던 국민 술입니다. 중세 시대에는 의학적 목적으로 증류하고 9c에는 추위를 녹이기 위해 주조되었던 독주이었고 16c에는 인기를 얻게 된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입니다. 무색에 투명하고 중성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어 원재료의 특징은 거의 사라집니다. 보드카의 주원료는 곡식류인데 보리나 밀, 호밀 등입니다. 그 외에 포도나 감자 등 발효시킬 수 있는 모든 것들이 원료가 될 수 있습니다. 연속 증류 방식을 사용하고 맛과 불순물 제거를 위해 숯을 이용하여 필터링합니다. 럼 설탕을 만들 때의 부산물인 당밀을 물에 희석하여 발효하고 증류한 술입니다. 사탕수수즙으로도 만들기도 합니다. 일부 단식 증류법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연속 증류법을 사용하여 제조합니다. 럼은 비교.. 2023. 2. 17.
증류주의 종류 : 브랜디와 위스키 특징 증류주의 종류 : 브랜디, 위스키 특징 증류주에는 브랜디, 테킬라, 위스키, 보드카, 럼 등의 종류가 있습니다. 발효주와의 가장 큰 차이로는 발효주가 알코올 도수가 낮지만 증류주는 발효주를 증류한 것으로 알코올 도수가 높습니다. (대부분 40도) 대표적으로는 맥주를 증류한 위스키, 꼬냑이나 와인을 증류한 브랜디가 있습니다. 참고로 참이슬이나 처음처럼 같은 소주는 증류주가 아닌 화합주로 주정에 물과 감미료 또는 산미료를 첨가하여 만들어집니다. 증류주의 원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증류란 액체의 특정 성분을 골라 그것을 농축시키는 방법입니다. 서로 다른 물질은 서로 다른 온도에서 끓는다는 원리를 이용하여 만듭니다. 예를 들어 물의 끓는점은 100도이지만 에탄올의 끓는점은 78.5도로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을 .. 2023. 2. 16.
728x90
반응형